AI를 움직이는 힘은 결국 프롬프트에 있었습니다.
최근 경험을 통해 본 프롬프트의 중요성을 CEO의 시선으로 풀어봅니다.
✒️
Writer : BK (블룸에이아이 CEO)
얼마 전 회사에서 개발 중인 AI 에이전트의 초기 버전을 테스트할 일이 있었습니다.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결과는 기대만큼 인상적이지 않았습니다. 이때 다시 한 번 깨달은 것이 있는데요. AI의 성능은 모델 자체만큼이나, 우리가 어떤 프롬프트를 주느냐에 달려 있다는 사실입니다.
사람들은 흔히 ‘AI가 다 알아서 해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조금만 표현이 모호하거나, 지시가 애매하면 결과가 크게 흔들립니다. 우리가 쓰는 언어는 모호할 때가 많고, 사람마다 말투와 표현 방식이 다르니까요.
같은 모델을 사용했는데도 어떤 이는 훌륭한 결과를 얻고, 다른 이는 실망만 남기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결국 차이는 사용자의 요청 방식, 즉 프롬프트 역량에서 갈라집니다.
대부분은 프롬프트 작성 자체를 별도의 작업으로 보지 않습니다. 깊게 고민하는 것도 일이고, 그냥 평소 대화하듯 적어도 결과가 나올 거라 기대하지요.
하지만 작은 차이가 성능을 크게 좌우합니다. 불필요하게 장황하면 핵심을 놓치고, 지나치게 짧으면 맥락이 부족합니다. 좋은 프롬프트는 짧지만 요점이 분명하고, 맥락을 충분히 담고 있는 문장입니다.
저는 이 과정이 일종의 새로운 언어 학습이라고 생각합니다. AI와 협력한다는 것은 명령을 내리는 일이 아니라, 대화의 기술을 익히는 일에 가깝습니다. 우리가 더 구조적으로, 그리고 구체적으로 표현할수록 AI도 더 정확하고 창의적인 답을 내놓을 수 있죠.
그래서 “AI는 아직 부족하다”고 단정하기보다, 먼저 ‘내가 충분히 명확하게 설명했는가’를 돌아보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실제로 같은 AI를 가지고도 어떤 팀은 차별화된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또 다른 팀은 제자리걸음을 하는 사례를 자주 봅니다.
차이는 결국 모델 자체가 아니라 프롬프트를 다루는 사용자의 역량에서 비롯됩니다.
앞으로 우리가 서비스를 만들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기술적 진보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사용자가 얼마나 능숙하게 프롬프트를 다루고, 그것을 통해 AI의 잠재력을 끌어내느냐가 성과와 경쟁력을 좌우하게 됩니다.
프롬프트를 AI와 함께 일하기 위한 리모컨이라고 생각해보죠. 그 리모컨을 제대로 다룰수록 AI는 더 큰 가치를 드러내며 곧 우리의 경쟁력이 될 겁니다.